정월 대보름은 한국 전통 명절 중 하나로 날짜는 매년 음력 1월 15일 입니다. 2023년 정월 대보름은 2월 5일 일요일 입니다. 예전만큼 집에서 정월 대보름을 챙기진 않지만, 그래도 오곡밥, 취나물, 약밥, 부럼 등을 먹으면서 소소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이란 설날이 지나고 첫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정월(正月)은 열두 달 중 첫째 달을 의미합니다. 보름은 음력 15일을 뜻해서, 정월 보름은 음력 날짜인 1월 15일을 지칭합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은 부럼, 오곡밥(찰밥), 약밥, 이명주, 팥죽, 묵은 나물 등이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것은 부럼깨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호두를 나이만큼 깨서 먹는 관습이 있습니다. 오곡밥 같은 경우는 찹쌀, 수수, 기장, 적두, 서리태 등을 넣어 해 먹고, 나물은 설날 제사 나물과 비슷하게 해 먹습니다. 가지, 무, 오이, 시래기, 호박고지, 취나물, 콩나물, 고사리 등을 사용합니다. 이외 약밥과 귀밝이술이라고 해서 아침에 찬술을 마시곤 했는데요. 정월 대보름 아침에 찬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 해서 귀밝이술(이명주)라 불립니다. 동지처럼 팥죽을 먹기도 합니다. 연초 나쁜 기운과 귀신을 떨쳐내는 의미로 붉은 음식을 먹곤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설 연휴보다 더 큰 명절이 정월 대보름이었습니다. 챙겨 먹을 음식도 많고, 할 놀이도 많아서인데요. 정월 대보름 놀이로는 쥐불놀이, 횃불싸움, 달집태우기, 달맞이, 다리밟기, 연 날리기 등이 있습니다. 큰 보름달이 보이는 산 언덕에서 쥐불놀이를 하는 모습은 예전 교과서에도 자주 등장 했는데요. 예전에는 쥐불놀이가 논이나 밭에 있는 잡초를 태우고 해충을 없애 준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현재는 환경 오염과 산불 위험 때문에 LED 전등으로 대체 중입니다.
정월 대보름의 마지막은 보름달을 보며 소원빌기로 끝납니다. 어떻게 보면 한 해에 보름달 보고 소원 비는 날이 딱 이틀인데요. 아무래도 추석보다는 새해에 비는 소원이 더 의미있겠죠. 달 뜨는 시간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서울 기준으로 2023년 정월 대보름 달뜨는 시간은 5시 21분이고, 다음 날 7시 32분에 집니다. 서울 이외 다른 지역들의 정보도 아래 생활천문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사이트는 양력음력 변환 계산기부터 별자리, 천문현상, 천체역학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니 아이가 있는 분이라면 즐겨찾기 해 놓으시길 추천드립니다.
정월 대보름에 짧은 인사말을 보내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설 연휴 기간 바빠서 연락하지 못 했던 지인들에게 연락 할 좋은 핑계인데요.
- 계묘년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 대보름 입니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부럼 깨먹으면서 한 해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래요!
- 이번 주 일요일이 정월 대보름이네요. 대보름 아침에 귀밝이술을 한 잔 마시면 한 해 동안 기쁜 소식이 솔솔 들려 온다고 해요. 즐거운 대보름 보내세요.
- 멋진 보름달이 뜨는 정월 대보름이 찾아 왔네요. 추석 전 소원을 빌 수 있는 찬스이니, 가족과 함께 새해 소원 빌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