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 보겠습니다. 월급 실수령액은 기본급, 상여, 차량 유지비, 식대 등을 포함한 세전 급여에서 각종 세금, 보험료, 연금을 공제한 세후 급여입니다. 근로자마다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자녀수 등이 달라 연봉이 같아도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은 약간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2년 연말 국세청에서 발표한 2021년 한국 근로자 평균 연봉은 4,024만원 이었습니다. 2020년에 비해 5.1%가 늘었났는데, 근로자 평균 연봉이 196만원 인상한 수치입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근로자들이 분포한 연봉 구간은 2천~3천만원 사이로 21.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이 3천~4천만원 사이로 14.22%, 5천~6천만원 사이의 연봉은 전체 근로자의 9.5% 입니다. 지난 3년간 직장인 평균은 2019년 3,744만원, 2020년 3,828만원, 2021년 4,024만원이었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법은 세전 급여(기본급, 식대, 상여, 차량유지비)에서 공제 내역(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료,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을 뺀 합계 입니다. 2023년 근로자가 부담해야 할 4대 보험 요율은 국민연금 4.5%, 고용보험 0.9%,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료 x 12.81% 입니다. 2023년부터 식대 20만원까지 비과세로 포함 되었습니다.
2023년 실수령액표 (보수적 계산)
연봉 | 공제 금액 | 월 실수령액 |
2,400만원 | 209,450원 | 1,790,550원 |
3,000만원 | 280,760원 | 2,219,240원 |
4,000만원 | 445,520원 | 2,887,820원 |
5,000만원 | 647,170원 | 3,519,500원 |
6,000만원 | 855,460원 | 4,144,540원 |
7,000만원 | 1,068,400원 | 4,764,940원 |
8,000만원 | 1,346,090원 | 5,320,580원 |
9,000만원 | 1,596,480원 | 5,903,520원 |
1억 | 1,841,880원 | 6,491,460원 |
2023년 최저시급(9,620원)으로 주 40시간을 일하는 근로자라면 대략 세전 연봉 2,400만원 입니다. 세금을 제외한 후 월 180만원 정도를 실수령 할 수 있습니다. 연봉이 올라 갈 수록 실수령비율이 낮아 집니다. 연봉 실수령을 계산 할 때 소득세는 비율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구간별 세액표를 참고해야 합니다. 이외 연봉이 올라간다 하더라도 국민연금 납부액 같은 경우는 상한액이 정해져 있어 고액 연봉자도 현재 235,800원만 납부하면 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위 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는 보수적으로 계산한거라 실제로 더 적게 받을 수도 있고,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더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이대별 평균 연봉과 지역별 평균 연봉 TOP 5를 살펴 보겠습니다.
나이대별 평균 연봉
20대 | 2,300만원 |
30대 | 4,092만원 |
40대 | 5,031만원 |
50대 | 5,004만원 |
지역별 평균 연봉 TOP 5
세종 | 4,720만원 |
서울 | 4,657만원 |
울산 | 4,483만원 |
경기 | 4,119만원 |
충남 | 3,957만원 |
이외 조금 더 자세히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계산기를 활용 하시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