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절(3·1절)은 1919년 3월 1일 일본 식민통치에 항거해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역사적 의미를 기리는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입니다. 이 날은 1949년 10월 1일 공식적으로 국경일로 지정되었으며, 태극기 게양이 의무화된 날로 연중 24시간 달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삼일절의 지정년도와 태극기 게양 방법을 정리합니다.
1. 삼일절 국경일 지정 연혁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대한독립만세 운동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임시정부에서는 1920년 독립선언일로 지정해 기념했습니다. 광복 이후 1946년 3월 1일 제27회 기념식을 기해 국가 경축일로 지정되었고,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국경일로 재지정되었습니다. 2005년 법 개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1일(토요일)은 삼일절이며, 대체공휴일이 3월 3일(월요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 태극기 게양 의무화와 방법
의무화
- 5대 국경일(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에는 태극기 게양이 의무화됩니다.
- 게양 시간: 3-10월 07:00-18:00, 11-2월 07:00-17:00.
- 조기 게양: 현충일 등 조의 기간에는 깃봉과 깃면 사이를 1/3 내립니다.
게양 위치
- 주택: 대문 중앙 또는 왼쪽, 아파트 난간 중앙/왼쪽.
- 건물: 전면 중앙, 옥상, 출입구 벽면 중앙.
- 차량: 전면에서 왼쪽에 달며,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 조정 가능.
3. 태극기 구입 및 폐기 방법
구입처
-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온라인 판매업체.
- 2025년 2월-3월에는 광복절 80주년 기념으로 편의점·대형마트에 상설 판매대 운영 예정.
폐기 방법
- 오염·훼손된 국기는 주민센터 국기수거함에 반납해야 합니다.
- 직접 소각 시 태극문의 위아래 방향을 조심해야 합니다.
4. 2025년 삼일절 행사
기념행사
- 정부 주최 기념식: 3부 요인, 광복회 회원 참석.
- 민간 행사: 5km 태극기 달리기, 건강검진, 농악대 공연 등.
- 대체공휴일: 3월 3일(월요일) 휴무.
태극기 달기 운동
- 2025년 3월 1일-5일까지 세종시티앱을 통해 태극기 게양 인증 사진 공모 예정.
결론
삼일절은 1949년 공식 지정된 이후로 대한민국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는 중요한 기념일로, 태극기 게양은 국경일의 의의를 담아내는 상징적 행위입니다. 2025년 삼일절은 대체공휴일과 함께 민간 주도 행사로 확대되며, 태극기 게양 문화를 더 널리 확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