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노령연금 수급자격이 2025년 기준 새롭게 변경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기준, 나이요건, 자녀소득 영향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며, 수급자격을 명확히 파악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수급자격 기본 조건

1. 나이 요건

  • 만 65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단, 65세 미만인 경우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적 및 거주요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국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 한합니다.

2. 소득인정액 기준

  • 단독가구 기준 월 228만 원 이하(2025년 기준)
  • 부부가구 기준 월 364만 8,000원 이하.
  • 근로소득, 연금소득, 금융재산, 일반재산 등을 종합해 산정합니다.

▶️ 재산기준: 세부 조건 및 계산 방법

1. 일반재산

  • 토지·건물의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환산합니다.
일반재산 종류 환산 기준
토지 시가표준액 × 0.4%
건물 시가표준액 × 0.3%
주택(임대용 제외) 시가표준액 × 0.2%

2. 금융재산

  • 예금·적금·보험 등전액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단, 비상금 500만 원은 공제됩니다.

3. 재산 합산 기준

유형 단독가구 부부가구
일반재산 7억 7,400만 원 이하 11억 5,740만 원 이하
금융재산 + 일반재산 7억 9,400만 원 이하 11억 7,740만 원 이하

재산이 초과 시 기초연금 수급 불가


▶️ 자녀소득 영향: 공제 확대

  • 2025년 새로 도입된 규정으로 비동거 직계존비속(자녀·조부모)의 교육·의료비를 공제 대상으로 확대했습니다.
  • 공제 금액:
  • 교육비: 월 50만 원 이내
  • 의료비: 월 100만 원 이내

▶️ 수급액 차등 지급

  • 단독가구: 33,480원 - 334,810원
  • 부부가구: 66,960원 - 535,680원 (부부 모두 수급 시 20% 감액).

▶️ 주의사항

  1. 직역연금 수급자 제외: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특정 연금 수급자는 기초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2. 재산과 소득 동시 검토: 단순 소득 미달 시 재산을 통해 수급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3. 수급희망 이력관리: 탈락 후 5년간 수급 가능성 조사를 통해 재신청 안내.

▶️ 마무리

2025년 기초연금은 노인 가구의 70%를 대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재산과 소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자녀소득 공제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어르신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정되었습니다. 정확한 수급자격 확인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나이 자녀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