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자 중 소득이 발생할 경우, 일시금 수령 여부와 관련된 조건이 복잡하게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소득 활동 여부, 가입 기간, 연금 유형 등이 일시금 수령 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일시금 수령 조건을 최신 법령과 실례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1. 소득이 있는 경우 일시금 수령 가능한 상황
① 가입기간 미달 시 일시금 수령 가능
- 조건: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일 경우
- 상세: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연금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반환일시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년간만 가입한 경우 총 보험료의 100%를 일시금으로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② 해외 이주 또는 국적 상실 시
- 조건: 해외 이주 또는 국적 상실로 인해 국민연금 탈퇴 시
- 상세: 국내 거주가 불가능한 경우, 가입 기간과 관계없이 일시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단, 2025년 기준으로는 외국인 가입자에게도 적용되며, 반환일시금 수령 시 최종 기준소득월액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2. 소득 활동에 따른 일시금 수령 제한
② 노령연금 수령 중 소득 활동 시
- 조건: 연금 수령 시작 후 5년 이내에 소득이 발생할 경우
- 상세:
- A값(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을 초과하는 소득 발생 시, 노령연금액이 감액됩니다.
- 예시: 2025년 기준 A값은 월 3,089,062원입니다. 월 소득이 이 금액을 초과하면, 초과 금액의 5%가 연금에서 감액됩니다.
③ 조기노령연금 수령 시 소득 활동 제한
- 조건: 조기노령연금 수령 중 소득 활동 시
- 상세: 조기연금 수령 중 소득이 발생하면 지급이 전면 중단됩니다. 단, 2025년 기준으로는 월 390,000원 이상 소득이 발생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3. 일시금 수령 후 소득 활동 가능 여부
① 반환일시금 수령 후 재가입 가능성
- 조건: 반환일시금 수령 후 재가입 시
- 상세: 일시금을 수령한 후 재가입 시, 추가 가입기간이 누적되어 연금 수급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단, 재가입 시 기존 가입 기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② 유족연금 일시금 수령 시 소득 영향
- 조건: 유족연금 일시금 수령 후 소득 활동 시
- 상세: 유족연금 일시금 수령 후에는 소득 활동 여부에 관계없이 추가 제한이 없습니다. 단, 5년 경과 후에만 일반 연금 수급이 가능합니다.
4. 2025년 기준 소득 활동 판단 기준
① 소득 활동 판단 공식
- A값: 2025년 기준 월 3,089,062원
- 감액 기준: 소득월액 > A값
② 소득 활동 분류
구분 | 소득월액 | 감액률 |
---|---|---|
1단계 | 3,089,062원 초과 | 5% |
2단계 | 6,170,000원 초과 | 10% |
5. 실례를 통한 이해
① 노령연금 수령 중 소득 활동
- 가입자 A: 2025년 기준 노령연금 월 1,000,000원 수령 중, 월 소득 3,500,000원 발생
- 감액 계산:
- 초과 금액 = 3,500,000원 - 3,089,062원 = 410,938원
- 감액액 = 410,938원 × 5% = 20,546원
- 최종 지급액 = 1,000,000원 - 20,546원 = 979,454원
② 조기연금 수령 중 소득 활동
- 가입자 B: 조기연금 월 800,000원 수령 중, 월 소득 500,000원 발생
- 결과: 지급 중단
국민연금 수령 중 소득 활동 여부는 일시금 수령 가능성과 연금액 감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2025년 기준 A값(월 3,089,062원)을 초과하는 소득 발생 시, 연금액 감액이 필수적이며, 조기연금 수령 시에는 소득 활동 자체가 제한됩니다. 일시금 수령을 목표로 하는 경우, 가입 기간과 소득 활동 기간을 신중히 관리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