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

2025년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신분증이 필수인데요, 어떤 신분증을 준비해야 하는지, 혹시 신분증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투표 시 인정되는 신분증 종류

투표소에서는 본인 확인을 위해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인정되는 신분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주민등록증: 가장 기본적인 신분증
  • 운전면허증: 유효기간이 지난 것도 본인 확인 가능하면 인정
  • 여권: 유효기간이 지난 것도 본인 확인 가능하면 인정
  • 복지카드: 장애인등록증 등 관공서 발행 신분증
  • 학생증: 각급 학교의 학생증(사진과 생년월일 포함)
  • 모바일 신분증: 정부24 앱, PASS 앱 등의 모바일 신분증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앱을 실행하는 과정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캡처 이미지나 저장된 사진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여권으로 투표할 수 있나요?

여권도 투표소에서 신분증으로 인정됩니다. 심지어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도 이름, 사진 등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다면 신분증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경우에도 재외투표를 통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이 없을 때 투표하는 방법

만약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을 분실했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주민등록증발급신청확인서: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에서 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 후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수수료는 5,000원입니다.

  2.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활용: - 정부24 앱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 KB스타뱅킹 앱 국민지갑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 모바일 운전면허증,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등

투표 시 주의사항

투표소에 가기 전에 꼭 신분증을 챙기세요.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할 수 없습니다. 또한 투표 시 기표는 반드시 투표소에 비치된 기표용구로 해야 합니다. 펜이나 다른 도장으로 표시하면 무효가 됩니다.

투표 과정에서 실수로 기표를 잘못하거나 투표용지를 훼손한 경우에도 다시 투표용지를 교부받을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 투표 전에 이러한 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 투표 신분증 종류 여권 신분증 없을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