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 값을 뜻합니다. 평균이 아닌, 최고 연봉부터 최저 연봉까지 줄을 세운 뒤 정 가운데 있는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이라 부릅니다. 중위소득 100%는 이 중위 값을 말하고, 50%는 이 중위 값의 절반, 120%는 이 중위 값에서 20% 더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3년 2022년 가구별 중위소득 100% 비교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2022년 | 194만4812원 | 326만85만원 | 419만4701원 | 512만1080원 | 602만4515원 | 690만7004원 |
2023년 | 207만7892원 | 345만6155원 | 443만4816원 | 540만964원 | 663만688원 | 722만7981원 |
2023년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207만 7,892원이고, 작년보다 6.84% 오른 수치 입니다. 중위소득 100% 이하란 가구의 소득이 위 표에 나온 수입보다 적을 때를 의미합니다.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표
100% | 50% | 47% | 40% | 30% |
207만 7892원 | 103만 8946원 | 97만 6609원 | 83만 1157원 | 62만 3368원 |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한 여러 복지 서비스의 선정 기준으로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등도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대비 30%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 대비 40%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대비 47%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 대비 50% ▼
* 2022년까지는 주거급여 선정기준이 기준중위소득의 46% 였는데, 올해는 1% 오른 47%까지 확대 되었습니다.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표
100% | 50% | 47% | 40% | 30% |
512만1080원 | 270만 482원 | 253만 8453원 | 216만 386원 | 162만 289원 |
교육급여 지원 | 주거급여 지원 | 의료급여 지원 | 생계급여 지원 |